컴퓨터가 자꾸만 느려지고 답답하고 짜증이날 때
주변에 컴공 누나 언니 오빠 형님 동생 찾지말고
일단 제어판내에서 프로그램 추가/삭제 를 통해 아래의 프로그램들이 있는지 확인 해보고
해당 프로그램들을 삭제 해주길 바람.
순서는 a to z
abouttopbar | 광고 |
addendum sidebar | 애드웨어 |
ADDENDUM | 악성코드 (BHO) |
Afreeca | 악성코드 |
ahnsoft | 악성코드(안랩 위장) |
atbaddon | 악성코드 (BHO) |
Auto Styling Plugin | 애드웨어 |
BaroSearch | 애드웨어 |
boank | 개인정보 보안솔루션 |
boankeeper | 유료 결제 유도 |
bpntup | 애드웨어 |
checkboan | 개인정보 보안솔루션 |
checkspeed | 유료 PC최적화 프로그램 |
ClearVaccine | 악성코드 검사 후 결제유도 |
clickmonster | 애드웨어 |
clisopt | 악성 프로그램 |
datamodify | 애드웨어 |
diskboan PC | 사용흔적 검사 후 결제유도 |
downloadget | 애드웨어 |
downmanager | 애드웨어 |
dualmatching | 애드웨어 |
easy search 1.0 | 악성코드 (BHO) |
ebcds uninstall | 악성코드 |
everytoolbar | 악성코드 (BHO) |
filevaccone | 유료백신 |
fineTop | 악성코드 (BHO) |
freespon uninstall | 악성코드 (BHO) |
fufurestream client | 애드웨어 |
gonet_v249 | 애드웨어 |
good2_v117 | 애드웨어 |
guideOn | 악성코드 (BHO) |
halfgudeon | 애드웨어 |
hint1.4 | 악성코드 (BHO) |
IETab | 악성코드 (BHO) |
infoScan | 악성코드 검사 후 결제유도 |
internet iefind | 애드웨어 |
keypangversion 1.0 | 애드웨어 |
keywordfind | 악성코드 (BHO) |
keywordinfo | 애드웨어 |
Kocoa_v136 | 애드웨어 |
Live Keys | 애드웨어 |
localbox | 애드웨어 |
Mclean | 애드웨어 |
Micronames Multi Language Convert Service | 애드웨어 |
ModenPix | 악성코드 (BHO) |
mplan Sonic 1.00 | 악성코드 (BHO) |
mysponsor uninstall | 애드웨어 |
new1_v104 | 애드웨어 |
ns21_v79 | 애드웨어 |
opentab | 애드웨어 |
OpentabUninstall | 애드웨어 |
Pandora_autoget | 악성코드 (BHO) |
PatchUp_plus | 애드웨어 |
popsi | 애드웨어 |
protectinfo uninstall | 유료개인정보보호프로그램 |
psngr bho pop | 악성코드 (BHO) |
quick match iexplorer helper | 악성코드 (BHO) |
quicksearch 1.00 | 악성코드 (BHO) |
real gcastname | 애드웨어 |
recnfgdata | 멀웨어 |
reconfigset | 멀웨어 |
reserverset | 멀웨어 |
resetconfig | 멀웨어 |
searchLite | 악성코드 (BHO) |
Smart Find | 악성코드 |
toolon | 애드웨어 |
topsearch | 악성코드 |
usercnfg | 애드웨어 |
utool uninstall | 애드웨어 |
vaccine7 | 백신 유사 프로그램 |
vccineupdate | 애드웨어 |
win search forjclass | 애드웨어 |
windows nupjinsys x86 | 악성코드 |
windows Wcockpit | 애드웨어 |
wshtcpip.dll | 시스템 변조 바이러스 |
용어 간단 설명.
- 애드웨어 : 스파이웨어 등으로 불리며 마케팅과 광고를 위해 다운로드된 불법프로그램으로 메신저나 플레이어, 파일공유 프로그램등을 다운받을 때 함께 다운되며 광고창을 지속적으로 띄우거나 임의로 특정 웹사이트에 연결시킨다.
- 멀웨어 : 악성프로그램(malicious software)의 줄임말로 PC사용자 몰래 시스템에 침투하여 피해를 입히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
- 악성코드 : 개인정보를 유출하거나 동작을 느리게 하는 방해 프로그램
- 악성코드(BHO) : 웹브라우저상에서 툴바나 아이콘을 임의로 생성시키는 악성코드
'컴퓨터, 노트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10 기본 프로그램 (기본 앱) 바꾸기 및 초기화 방법 (0) | 2020.09.02 |
---|---|
PC 카카오톡 받은 파일 저장위치 바꾸는 방법. (0) | 2020.08.31 |
윈도우10 시작메뉴를 내맘대로 바꾸는 방법. 시작메뉴 사용자 정의 (0) | 2020.08.28 |
윈도우10 라이브러리 활성화 하는 방법. (0) | 2020.08.27 |
윈도우10 파워토이즈로 PC를 더 생산적으로 사용하기.무료 유틸리티 파워토이즈. 생산성향상 (0) | 2020.08.26 |
댓글0